광고 | |||
저축은행 업계가 지난해 당기순이익 1조원 시대를 열었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79개 전체 저축은행은 2015년에 비해 약 55% 증가한 1조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저축은행 업계가 가장 호황을 이뤘던 2007년 실적인 6,270억원보다 1.6배 많은 수치다.
지난해 저축은행업권의 호실적은 부실채권 회수, 대출 확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저축은행업권 관계자는 “2011년 영업정지 사태 때 연체된 대출들을 아직도 회수하는 과정인데 지난해 아파트 가격이 오르면서 담보물의 가격 또한 덩달아 올랐다”면서 “전보다 부실채권을 통해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많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금리 대출, 비대면 대출 상품 출시 등 활발한 신상품 출시도 대출 확대에 한몫했다.
일부에서는 저축은행 업계가 지난 2011년 부실 사태 악몽에서 완전히 벗어났다는 긍정 전망이 나오는 동시에 올해 대선과 맞물려 금리 규제 추가 강화 등이 현실화되면 업황이 다시 악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교차한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의 경우 부동산 시장이 좋았기 때문에 대출채권 회수가 용이했으나 올해부터는 또다시 상황이 악화될 수 있다”면서 “이뿐만 아니라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조달 금리 인상, 최고 금리 인하 등 요인으로 올해는 실적이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주원기자 joowonmail@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난해 저축은행업권의 호실적은 부실채권 회수, 대출 확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저축은행업권 관계자는 “2011년 영업정지 사태 때 연체된 대출들을 아직도 회수하는 과정인데 지난해 아파트 가격이 오르면서 담보물의 가격 또한 덩달아 올랐다”면서 “전보다 부실채권을 통해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많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금리 대출, 비대면 대출 상품 출시 등 활발한 신상품 출시도 대출 확대에 한몫했다.
일부에서는 저축은행 업계가 지난 2011년 부실 사태 악몽에서 완전히 벗어났다는 긍정 전망이 나오는 동시에 올해 대선과 맞물려 금리 규제 추가 강화 등이 현실화되면 업황이 다시 악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교차한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의 경우 부동산 시장이 좋았기 때문에 대출채권 회수가 용이했으나 올해부터는 또다시 상황이 악화될 수 있다”면서 “이뿐만 아니라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조달 금리 인상, 최고 금리 인하 등 요인으로 올해는 실적이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주원기자 joowonmail@sedaily.com
- [서울경제 바로가기]
- 나와 찰떡 궁합인 대선 후보는? [설문 바로가기]
- 서울경제와 친해지는 가장 확실한 방법 [페이스북]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